본문 바로가기

포도당3

당뇨코드 - 현대인이 필수적으로 읽어야 하는 책 안녕하세요? 제이슨 펑의 지난번 비만코드에 이이서 당뇨 코드라는 책을 읽느라고 많은 시간을 썼습니다. 그리고 이제서야 정리하고 나서 이 내용을 한번 포스팅으로 남기는 중 입니다. 우선 책의 내용은 과도한 양의 당분 - 단순히 탄수화물을 포함해서 모두 당분이라고 하면, 이 탄수화물의 과다한 섭취가 이제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것 이상으로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몸에 해롭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전까지 주목을 받았는 혈관을 막는것도 이게 '지방'이라고 해서 기름만을 많이 먹어서 생기는 것이라기 보다는, 탄수화물 - 특히 포도당이 과다하게 저장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한번의 포스팅에서 다 다루기에는 이 책의 분량은 작지만, 그 내용은 상당히 유용하고 이제까지 알고.. 2024. 12. 11.
포도당에서 시작하는 플라스틱 안녕하세요? 이미 이 블로그에서도 여러변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을 포스팅 하였습니다. [링크: 생각외로 심각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링크: 미세플라스틱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이런 기사가 있었는데, 그만큼 '친환경적인 플라스틱'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친환경 플라스틱을 만들려는 시도는 처음도 아니어서 [링크:플라스틱을 대체할 5가지 물질],[링크: 녹조가 플라스틱이 되다]라는 포스팅에서 그 시도를 보여준 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라는 학회지에 2018년 1월 8일자로 올라온 KAIST(카이스트)의 연구 결과는 매우 독특합니다. 바로 포도당을 이용해서, 아이스 아메리카노 등에 사용이 되는 '페트(PET)'라고 불리는 폴리에틸렌 테.. 2018. 8. 3.
인공 광합성 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광합성이라고 하면 이건 식물이 물과 이산화탄소를 햇빛을 이용해서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과정입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기사를 보니 이 식물의 전용 기능이라고 생각을 하였는 과합성이라는 것을 인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가 되어 있어서, 이를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식물에서 일어나는 광합서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식물에는 '광계(photosystem)'이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런 단백질이 II과 I라고 2개가 있다고 합니다. 왜 이런 위 그림에서 묘사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치느냐 하면, 이러한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막대한 에너지가 소모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식물 안에서는 이렇게 전자를 광계(photos.. 2018.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