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탕3

당뇨코드 - 현대인이 필수적으로 읽어야 하는 책 안녕하세요? 제이슨 펑의 지난번 비만코드에 이이서 당뇨 코드라는 책을 읽느라고 많은 시간을 썼습니다. 그리고 이제서야 정리하고 나서 이 내용을 한번 포스팅으로 남기는 중 입니다. 우선 책의 내용은 과도한 양의 당분 - 단순히 탄수화물을 포함해서 모두 당분이라고 하면, 이 탄수화물의 과다한 섭취가 이제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것 이상으로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몸에 해롭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전까지 주목을 받았는 혈관을 막는것도 이게 '지방'이라고 해서 기름만을 많이 먹어서 생기는 것이라기 보다는, 탄수화물 - 특히 포도당이 과다하게 저장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한번의 포스팅에서 다 다루기에는 이 책의 분량은 작지만, 그 내용은 상당히 유용하고 이제까지 알고.. 2024. 12. 11.
단맛을 내는 설탕과 인공 감미료에 대한 사실 안녕하세요? 설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자면, 대표적으로 단맛을 내게 해주는 조미료이며 설탕 많이 먹으면 비만-살찌기 쉽고, 충치가 생기기 쉽다고들 합니다. 이런 설탕이 실은 '포도당'과 '과당'이 1대 1로 결합한 2당류로 대부분 사탕수수나 사탕무에서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헬스 조선 2017년 7월호에 있는 기사인 [설탕과 인공감미료, 정말 건강에 나쁠까?]라는 기사에 의하면, 전 근대 시대에는 설탕이 상당히 귀했기 때문에 사치품이었고, 영양실조와 쇠약감을 풀어주는 고칼로리 음식이기에 '만병통치약'으로 불린 적도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처럼 귀한 대접을 받던 설탕도 생산량이 많아지고, 사람들이 많이 섭취하게 되자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 했다고 합니다. 심장병을 일으키는 물질을 흔히 콜레스테롤이 주된.. 2017. 7. 25.
단백질의 당화(Protein Glycosylation)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백질의 수식화라고 번역해야 할까요? Protein의 PTM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 중에 하나인 단백질의 당화 (Protein Glycosylation)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단백질의 PTM이 무엇인지 모르신다면, 다음의 포스팅을 읽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링크 : 단백질의 PTM 우선 이 단백질의 당화를 간단하게 정의하자고 하면, 단백질 (Protein)에다가 설탕 (Sugar)가 붙는 과정이라고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이 과정을 거쳐서 생성된 단백질을 당단백질 (Glycoprotein)이라고 따로 부르는 것은 덤 입니다. 우선 흥미로운 것은 이게 어디에서 일어나는 지를 생각하면, 좀 흥미로운 대목이기는 합.. 2017.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