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토막상식 이야기

새로운 건강지표-근간 지방 조직(IMAT)에 대한 이야기

by 인터넷떠돌이 2025. 4.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말 오랫만에 과학 토막상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데, 일단 관련된 이야기는 건강에 대해서도 상당히 도움이 되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심장병이 발병할지 여부를 기존에는 체질량지수 (BMI)로 계산을 했는데, 이게 정확하지 않아서 마른 사람도 심장병이 발병하고, 뚱뚱해 보여도 심장병과는 상관없는 경우가 나오곤 했습니다. 그런데 아래의 사진과 같은 마블링이 잘 되어 있는 고기가 무슨 상관이냐고 하실 건데, 바로 오늘 이야기 하고자 하는 IMAT가 사실상 아래의 고기와 같은 우리 몸 상태라는 의미가 되기 때문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비만이 되면 지방이 배에축적이 된다는 것은 알 고 있을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지방은 복부에 보이지 않는 내장지방이 되어서 축적이 되거나, 심지어는 근육 사이사이에 축적이 되어서 근육지방이 되는 경우가 나오는데, 바로 위 사진의 소고기와 같은 상태가 되는 사람 근육 - 몸 상태가 IMAT가 높은 상태이고, 이런 상태가 되면 심장병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 진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문제는 여기서 교차하는 지점이 있는게, 제이슨 펑의 비만코드나 당뇨코드의 내용과 이어지는데, 저 IMAT라는 근내 지방 수치는 실제로는 '고기'를 많이 먹어서 생긴다기 보다는 '설탕'을 많이 먹어서 처리되지 못한 설탕이 지방형태로 저장이 되어서 저 지경이 됩니다. 그걸 생각하면 어쩌면 인간의 진정한 적은 '고기'가 아니라 '설탕'이라는 말인지도 모릅니다. 물론 이 내용을 찾아낸 BBC 사이언스 2025년 4월호 기사에서는 여기까지 이야기를 하지 않았지만, 그간 읽어온 책의 내용과 연계해서 생각해보면, 심장병까지 일으키는 근본 원인은.......... 설탕, 특히 음료수에 들어가 있는 당류가 저 원인이 아닌가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