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모한 도전-주식 인공지능 만들기

Step10 - 실전투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작 -20-

by 인터넷떠돌이 2020. 11.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전 포스팅에서 어떻게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기는 했는데, 분량의 문제로 중간에 끊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걸 가지고서 본격적으로 활용해 보기 위한 작업에 들어가 보고자 합니다. 이 과정을 하기 위해서 일단 이래저래 많은 코드를 수정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일단 먼저 한 것은 이렇게 해서 가지고 온 결과에서 우선 코드 리스트는 코드 리스트로 연결해 보도록 하고, 그 다음에는 이 정보를 sefl가 붙은 변수에 넣어서 어떻게 해서건 메서드에서 메서드간에 뛰어 가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기존에 있던 코드 리스트를 가지고 오는 메서드는 일단 어덯게 해서건 그냥, 주석처리를 해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바로 코드에 맞는 열(Row)를 고르는 것인데, 이건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데이터 프레임.loc(데이터 프레임['특정column'] == 특정한 값) 이렇게 하는 것으로 어떻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원하는 열(row)만 가지고 오는데는 어떻게 성공하기는 성공했습니다. 다만, 이렇게 온다고 해서, 아직 다 끝난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다암으로 한 것은 이 내용을 모두 데이터 프레임에 집어넣고 나서, 이게 제대로 나오는가 하는 여부입니다. 일단 이렇게 비율대로 해서 어떻게 필요한 종목별로 100만원을 나누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일단 이렇게 해서 종목 하나당 할당할 돈에 대해서 어떻게 계산이 끝나기는 끝이 났습니다. 이제 다음으로 해야 할 것이 하나 있습니다.

 

일단 위 스크린샷처럼 account risk를 계산하기 위한 공식을 만들어 둔 다음에, 여기를 기반으로 해서 이걸 계산한 다음에, 데이터 프레임에 추가할 준비를 합니다.

 

이렇게 해서 모든 준비를 마치기는 마쳤습니다. 일단 이렇게 하는 것으로 우선 Account risk까지 어떻게 해서 작업이 되기는 되었습니다. 이제 다음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은, 이걸 어떻게 저장할 것이며,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 될듯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