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5 독학 & 게임 제작/Project Yukkuri Run

Blender(블렌더)의 모델링 조작법 -6-

인터넷떠돌이 2021. 12. 16. 20: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번 분활에 대해서 다루면서 동시에 이어서 합치기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이렇게 하루에 포스팅을 정말 많이 올리는 것도 오랫만인데, 그만큼 블렌더에서 모델링을 하면서 알아야 할 기능이 많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이렇게 많은 내용에도 불구하고 아직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다 습득한 것도 아니라서 갈길이 아직도 먼 상황입니다.

 

이번에는 좀 더 나은 방법을 써서 어떻게 절반을 선택하는데 큰 문제는 없기는 없었습니다. 이렇게 상반구를 환전히 선택한 당음에 해야 할 일로는........

 

그리고 나서 메쉬 -> 분활 -> 선택인 selection을 선택해 주도록 합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기능은 같아 보이지만, 분리와는 결정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에디트 모드에서 이동을 위한 선택을 하고 나서, 분활이 된 부분을 움직여 보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느냐 하면,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이동을 시켜서 분리를 시켜 주었는데, 여기서 분활이 되었어도 여전히 같은 오브젝트 취급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분리와 분활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병합에 대해서 알아볼 시간인데, 일단 병합 자체는 M키를 누르면 나타나기 때문에 메쉬에 있는 메뉴를 사용할 일은 크게 없어는 보입니다.

 

문제는 그냥 하면 처음에 와 마지막에 라는 메뉴가 전혀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게 왜 안나오는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한번 실험으로 버텍스 (점) 2개를 선택하고 나서 M키를 눌러서 한번 병합이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을 했습니다.

 

그렇게 했더니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처음에 와 마지막에 라는 메뉴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게 다르게 하면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래도 지금으로서는 알 수 있는 것이 하나 있는데, 생각보다 병합이 간단하지 않다는 것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