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토막상식 이야기

인공 광합성 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by 인터넷떠돌이 2018. 6. 8.
반응형

안녕하세요?


광합성이라고 하면 이건 식물이 물과 이산화탄소를 햇빛을 이용해서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과정입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기사를 보니 이 식물의 전용 기능이라고 생각을 하였는 과합성이라는 것을 인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가 되어 있어서, 이를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식물에서 일어나는 광합서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식물에는 '광계(photosystem)'이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런 단백질이 II과 I라고 2개가 있다고 합니다. 왜 이런 위 그림에서 묘사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치느냐 하면, 이러한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막대한 에너지가 소모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식물 안에서는 이렇게 전자를 광계(photosystem) I과 II를 거쳐서 에너지 준위를 단계적으로 올려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Z-체계(Z-scheme)'라고 합니다. 이런게 식물에서 일어나는 광합성 과정이라면, 인공 광합성은 어떤 것이냐 하면, 다음의 그림과 같이 Z-체계를 모방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사의 내용에 따르면, 광계 II과 I이라는 단백질의 역할을 각각 이산화티타늄과 황화카드늄으로 대체했으며, 이 사이를 금으로 연결해서 '인공 Z-체계'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다만 이 인공 광합성은 현재 '포도당'을 만드는 것은 아니고, '수소의 생산'에 사용이 된다고 합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갈길이 멀어는 보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기술이기는 합니다.

반응형